사춘기 자녀로 인한 부모 우울증 극복기

이미지
첫째 아이 사춘기 때문에 남편이 우울증까지 생겼었어요. 정말 아이 사춘기에 남편 우울증까지 이거 난리도 아니였어요. 혹시 같은 고민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자녀의 사춘기는 부모에게도 2차 성장통을 가져옵니다. 갑자기 닫아버리는 방문, 거친 말, 알 수 없는 반항은 부모를 당황시키고, 때로는 무력감, 죄책감, 그리고 우울증 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저희 남편도 그랬어요. 어릴 때는 그렇게 잘 따르던 첫째가 중학교 들어가면서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방문 닫고 나오질 않고, 말 한마디만 걸어도 짜증내고, "아빠는 몰라"라는 말만 반복했어요. 남편은 처음엔 화를 내다가, 나중엔 아예 포기한 듯 무기력해지더니 결국 우울증 진단까지 받았습니다. 아이의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와 함께, '내가 부모로서 잘못하고 있는 건 아닐까?'라는 자책감은 부모의 마음을 병들게 합니다. 이 글은 사춘기 자녀로 인해 감정적 어려움을 겪는 부모님들을 위한 안내서 입니다. 부모 우울증은 자녀의 사춘기 행동 변화와 부모 자신의 중년기가 겹치면서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갱년기 호르몬 변화, 직장 및 경제적 스트레스 등 복합적인 요인이 더해져서 감정적인 취약성을 높입니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아이의 문제에만 집중할 게 아니라, 부모 자신의 심리적 건강을 최우선으로 돌보는 것 이 중요합니다. 부모님의 마음 건강이 곧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지탱하는 힘이 됩니다. 사춘기 자녀로 인해 부모가 겪는 우울감의 원인 부모의 우울감은 자녀의 변화, 부모 자신의 심리적 상태, 그리고 외부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발생합니다. 1. 자녀의 거부와 상실감: 사춘기 아이의 독립적인 태도, 부모와의 소통 거부, 냉랭한 반응 등은 부모에게 거부당하는 느낌 을 줘서 깊은 상실감과 슬픔을 유발합니다. 저희 남편도 "내가 뭘 잘못했나" 하면서 계속 자책했어요. ...

신생아 황달 증상 완벽 가이드 - 생리적·병적 황달 구별법

황달증상 신생아와 아이를 돌봐주는 간호사



첫째는 황달증상으로 병원에 입원하고 치료 까지 받았습니다. 그 때 생각하면 아이 피부가 너무 노래져서 깜짝 놀라 병원으로 달려갔습니다. 병원에서 확인후 바로 입원하였구요. 둘째도 피부가 노래지면서 황달 증상이 있긴 했는데 첫째와는 많이 달랐습니다. 그래서 먼저 인터넷으로 정보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알게 된것을 정리해서 알려드려봅니다. 

갓 태어난 아기의 얼굴과 눈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건 많은 신생아에게서 흔히 관찰되는 현상입니다. 바로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이죠.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문제 없이 호전되는 '생리적 황달'이지만,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병적 황달'일 수 있어서 부모님의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신생아 황달은 혈액 내 빌리루빈(Bilirubin)이라는 노란색 색소 수치가 높아져서 피부와 눈이 노랗게 착색되는 현상입니다. 빌리루빈은 수명이 다한 적혈구가 분해될 때 생성되는데, 신생아는 성인보다 적혈구 수명이 짧고, 빌리루빈을 처리하고 배설하는 간 기능이 미숙해서 체내에 빌리루빈이 쌓이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신생아 황달이 생기는 원인과 주요 증상, 가정에서 할 수 있는 확인 방법, 그리고 꼭 병원에 가야 하는 위험 신호까지 정리했습니다.


신생아 황달의 주요 증상과 진행 패턴

황달은 보통 생후 2~3일경에 시작되어 5~7일경에 최고조에 이른 후 점차 사라지는 '생리적 황달'이 가장 흔합니다. 증상은 몸의 윗부분에서 시작해서 아래로 진행되는 패턴을 보입니다.

  • 피부색 변화:
    • 가장 먼저 눈의 흰자위얼굴(코 주변)에 노란색을 띠기 시작합니다.
    • 황달이 심해질수록 몸통, 팔, 다리, 손바닥, 발바닥 순으로 노란색이 번져 내려갑니다.
  • 가정에서 확인하는 방법 (자가 진단):
    • 밝은 자연광 아래에서 아기의 피부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렀다가 떼었을 때, 눌렀던 부위의 피부 밑바탕 색이 일시적으로 노랗게 보인다면 황달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증상:
    • 대부분의 생리적 황달 아기는 잘 먹고 활력이 있지만, 황달이 심해지면 아기가 잘 안 먹으려 하거나, 잠만 자려고 하고(기면 상태), 축 처지는 등 활력이 떨어지는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병적 황달'의 위험 신호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빌리루빈 수치가 지나치게 높거나 다른 질환에 의한 '병적 황달'일 수 있으니까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 생후 24시간 이내에 황달이 나타나는 경우.
  • 황달의 정도가 매우 심해서 팔다리, 손바닥, 발바닥까지 노랗게 내려온 경우.
  • 황달이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모유 황달이 아닌 경우).
  • 아기가 잘 먹지 않거나, 축 처지고, 경련 등 신경학적 증상을 보이는 경우. (→ 핵황달 위험 신호)
  • 대변 색깔이 회색 또는 옅은 황색이 아닌 경우 (간담도 질환의 가능성).

심한 황달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빌리루빈이 뇌에 쌓여서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핵황달(Kernicterus)**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건 **뇌성 마비, 청력 상실** 등 영구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길 수 있으니까 절대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


신생아 황달의 관리 및 치료

황달은 원인과 빌리루빈 수치에 따라 치료 여부와 방법이 결정됩니다.

  • 생리적 황달 관리:
    • 대부분 별도의 치료 없이 수유를 충분히 하면서 자연스럽게 호전됩니다.
    • 모유 수유를 자주 해서 빌리루빈 배출을 촉진하는 게 중요합니다. (조기 모유 황달은 수분 섭취 부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 광선 치료 (Phototherapy):
    •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치료 기준을 넘을 경우 시행합니다.
    • 특정 파장의 푸른빛을 쪼여서 빌리루빈이 소변과 대변으로 쉽게 배설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도록 돕는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 교환 수혈:
    • 빌리루빈 수치가 매우 높거나 광선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핵황달의 위험이 높을 때 시행하는 최종 치료법입니다.

황달증상 정리하면서

신생아 황달은 흔하지만, 그 경과를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정기적인 진찰과 안내에 따라 정확한 수치를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합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신생아 황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습득하고, 우리 아기의 황달을 현명하게 대처해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신생아 황달에 대해 궁금증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동영상입니다

>> 신생아 황달, 꼭 치료가 필요할까요?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임신 후기 태아 발달: 28주부터 출산까지 아기와 엄마의 변화

청소년 사춘기 대처 완벽 가이드 - 부모와 자녀 소통의 중요성

어린이 시력 보호 가이드 - 눈 건강 지키는 법